본문 바로가기

미국 일상

해외 거주자 재외국민 등록 방법 | 재외국민등록부등본 발급 받기

해외 거주자 재외국민 등록하기
- 재외국민 등록이란?
- 재외국민 온라인 등록하기
- 재외국민 온라인 등록 시, 주의할 점
- 재외국민등록부등본 발급받기

 

재외국민 등록 방법과 재외국민등록부등본 발급 후기

 

해외 거주자 재외국민 등록 방법

 

 

해외에 거주하면서 재외국민 등록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해외 거주자로서 재외국민 등록하는 방법과 재외국민 등록부등본 발급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해외 거주자 재외국민 등록하기 

 

재외국민등록이란?


재외국민 등록은 한국 국적을 갖고 있거나 한국에서 태어난 사람이 해외에 거주하는 경우에 현재 거주지와 연락처, 정보를 한국 정부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고 한다.
인터넷에 여러 검색을 하며 찾아보니 해외에 나와 체류하면서 재외국민 등록을 안해도 딱히 불이익같은건 없는 것 같았기에 필수는 아닌 것 같았으나 부동산 매도나 거주지 증명이 필요한 경우에 재외국민 등록을 하는 것 같았다.

주변에도 재외국민 등록을 했다고 하신 분들은 딱히 없었는데, 개인적인 일로 해외 거주 증명이 필요한 일이 생겼다. 거주지 증명서를 작성하고 영사관에서 공증을 받을 수 있다하여 영사관에 전화해서 문의해보았으나 시민권자가 아닌 경우에는 보통 재외국민 등록 후 재외국민등록부등본을 발급받아 거주 증명을 한다고 하였다. J-2 비자로 미국에 머물고 있기에 필요 서류를 제출하기 위해 재외국민 등록을 하게 되었다.

 

 

재외국민 온라인 등록하기


영사관에 전화해서 문의해보았을 때, 친절하게 설명해주셨었는데 공인인증서가 있으면 영사민원24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재외국민 등록이 가능하다고 하셨다. 다행히 공인인증서, 간편인증서 모두 있었기에 온라인으로 재외국민 등록을 할 수 있었다. 아래 링크에 있는 영사민원24 홈페이지에 가면 메인페이지에 쉽게 재외국민 등록하기를 볼 수 있다.

https://consul.mofa.go.kr/

 

영사민원24 온라인 재외국민 등록 신청하기

 

 

재외국민 등록 시, 주의할 점


영사관에서 온라인으로 등록할 때 주의할 점 몇가지도 알려주셨다.

1) 대한민국내 등록기준지 : 한국에 거주하는 주소가 아닌 기본증명서에 나와있는 등록기준지를 적을 것.

2) 구비서류에 현재 미국에서 거주하고 있는 주소가 나와있는 서류를 같이 스캔해서 첨부할 것.
: 이 부분에 대해서는 별도로 첨부하는 란이 없어서 많이들 빠트리는데 누락 시 반려 사유가 될 수 있다고 하셨다. 여권 사본이나 다른 서류 첨부하는 란에 현재 미국 내 거주하는 주소가 적힌 서류도 같이 스캔해서 올려달라고 하셨다. "구비서류 2 _ 체류국의 사증" 부분에 "거주국 내의 거소 확인을 위함"이라고 적혀있어서 여권 내 비자 페이지와 함께 현지 거주 주소가 적혀있는 미국 운전면허증 스캔하여 같이 첨부하였다.

3) 구비서류 3에 최초 출입국 심사 날인이나 체류국 서류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
: 여권을 보니 왜인지 모르겠으나... 미국 입국할 때 찍힌 스탬프가 없었다. 예시를 보니 해당 부분을 스캔해서 올리면 되는 것 같았는데, 왜 스탬프가 없는 건지 아직도 의문이다... 아무튼 스탬프가 없었지만 마침 I-94 서류 뽑아둔 게 있었기에 I-94로 첨부하였다.  

각종 서류들을 업로드하고 작성을 마친 뒤 신청을 완료하였고, 다음날 재외국민 등록이 완료되었다는 메일을 받았다.

 

 

재외국민 등록부 등본 발급받기


재외국민 등록이 완료되면 온라인으로 바로 무료로 발급이 가능하다. 혹은 영사관에서 신청서 작성하고 받을 수도 있는데 수수료로 1불 정도가 들었던 것 같다.

 

복잡할 거라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간편하게 온라인으로 등록할 수 있어서 다행이었다. 다만, 온라인으로 등록할 때 기본 증명서, 여권 사본, 출입국 내역 등 첨부해야 할 관련 서류들이 있으니 미리 온라인으로 발급받고, 스캔해서 준비해두면 좋을 것 같다.